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트럼프, 연방정부 모든 결제 디지털 전환 명령…체크 사용 금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정부 지출과 수입을 처리할 때 체크 등의 종이 결제 수단 이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연방정부는 오는 9월 30일부터 모든 결제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게 된다.     행정명령은 모든 행정부처가 디지털 결제 수단으로 전환할 것을 의무화하며, 재무부는 직접 입금, 선불카드, 디지털 지갑, 실시간 결제 시스템 등 다양한 전자결제 인프라를 기관에 제공한다.     국무부, 재무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국토안보부 등은 각종 수수료, 벌금, 세금 등의 수납도 전자 방식으로 전환한다.   백악관은 은행 계좌나 디지털 결제 수단에 접근이 어려운 취약계층, 긴급 상황에서 전자결제가 어려운 경우, 국가 안보나 법 집행 관련 상황 등에 예외 조항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무부는 예외 승인 절차를 검토해서 향후 발표할 것이며 승인이 된 경우에 한해 대체 결제 수단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통해 “사기, 도난, 비효율을 줄이고 세금 낭비를 막겠다”며 행정명령의 배경을 밝혔다.     백악관이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체크는 전자 자금 이체(EFT)보다 분실, 도난, 변조 피해에 노출될 확률이 16배나 높다. 팬데믹 이후 우편물 도난 신고가 크게 증가하면서, 세금 환급 체크 등 종이 기반 결제의 보안 위험도 함께 부각됐다.     또한 종이 결제 수단을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와 기술 유지에 2024 회계연도에만 6억5700만 달러의 비용이 소모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결제 전환이 단지 효율성 제고에 그치지 않고, 불필요한 규제를 줄이고 납세자 보호에 기여하는 ‘상식적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조치는 경제의 중추인 중소기업과 근로자를 위한 승리이며, 납세자의 이익을 위한 당연한 조치”라고 밝혔다.   향후 모든 연방 기관은 90일 이내에 종이 기반 거래 제거 전략을 담은 계획을 관리예산처(OMB)에 제출해야 하며, 재무부는 180일 이내에 전체 시행 현황 보고서를 백악관에 제출하게 된다. 조원희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정부 행정명령 디지털 결제 전자결제 인프라 트럼프 대통령

2025-03-26

체크 살아남을까? 개인명의는 급감, 업체는 꾸준

한때 대표적 결제 수단이었던 개인 체크 사용이 급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금융정보사이트 고뱅킹레이트가 최근 1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단 한 장의 체크도 사용하지 않았다고 답한 비율이 46%에 달했다. 한 달에 최소 2장 이상의 체크를 사용한다는 답변은 15%에 그쳤다.   체크 사용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결제가 대중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팬데믹 기간 감염 위험을 줄이기 위해 비접촉 결제가 권장되면서 애플페이 등 디지털 결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에 따라 체크 결제를 중단하는 소매업체들이 늘어나고 있다. 타깃은 지난 15일부터 체크 결제를 받지 않는다고 발표한 것을 비롯해 홀푸드, 알디와 같은 수퍼마켓은 물론 올드 네이비와 룰루레몬 등 의류매장에서도 체크를 사용할 수 없다.     어바인에 거주하는 C씨는 지갑에 들어 있는 체크가 헤졌을 정도다. C씨는 “은행 계좌 및 라우팅 번호, 급전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비상용으로 넣어 다녔으나 사용할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 결국 지갑을 바꾸면서 너덜너덜해진 체크도 버렸다고 한다.   연령에 따라 사용 빈도가 큰 차이를 보였는데 젊은 층은 체크 자체가 낯선 경우가 많았다.     LA한인타운에 거주하는 H씨는 지난 2018년 유학 와 은행계좌를 개설한 뒤에 단 한 번도 체크를 사용한 일이 없다. 아예 체크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디지털 결제를 사용하면서 전혀 불편함을 못느꼈고 아파트 렌트할 때도 첫 달 렌트비를 체크 대신 머니 오더를 이용했다.   반면 55세 이상 소비자 중 1년에 1번 이상 체크를 사용한다고 답한 비율은 85%에 달해 시니어들은 여전히 체크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인 은행권 관계자는 “체크를 이용한 사기가 빈발하는 점도 고객들이 체크 사용을 꺼리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퍼스널 체크와 달리 비즈니스 체크 사용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뱅크오브호프의 박인영 부행장은 “전체적인 체크 발행량은 크게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은행 고객 중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분들이 많고 이런 고객들은 체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부동산 구매나 자선 기부 등에도 체크가 많이 쓰이고 있다. 텍사스기독교대학(TCU)의 스티븐 퀸 교수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 번에 큰돈을 지불해야 할 때 체크가 쓰이는 한 앞으로도 완전히 사라지진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절약을 위해 체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부에나파크에 거주하는 A씨는 수도요금과 전기요금과 같은 공과금을 온라인으로 결제하다 최근 다시 체크를 쓰기 시작했다. 많으면 5달러까지 부과되는 결제 수수료가 부담됐기 때문이다. 체크를 사용하면 우표 값이 들긴 하지만 이는 수수료보다 훨씬 더 저렴하다. 그는 “당연히 체크를 쓰는 일이 귀찮다. 하지만 귀찮음을 조금만 감수하면 돈을 아낄 수 있다”고 전했다. 조원희 기자개인명의 급감 디지털 결제 결제 수수료 사용 빈도 체크 수표 개인체크 비즈니스 체크 결제 비접촉 결제 박낙희 신용카드

2024-07-28

디지털 결제 좋은 이유…더 안전해지고 더 알뜰ㆍ편리해져

최근 통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통용되는 현찰(cash)의 비중은 17%라고 한다. 이는 재화의 83%가 실제로 손에 잡을 수 없는 무형 재화라는 얘기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현금의 비중을 더욱 줄이려고 노력 중이다.  현금 대신 사용되는 크레딧 카드나 디지털 결제 수단은 여러가지 이점이 있다.     한인을 비롯한 아시아계가 유독 현금을 많이 갖고 다닌다는 루머 때문에 아시아계가 강도나 좀도둑의 표적이 된다는 경찰들의 조언이 있다. 특히 시니어 세대들은 두둑한 지갑을 갖고 다니다 보면 왠지 기분이 좋아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시대는 수표도 아니고 디지털 결제 수단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팬데믹을 전후로 일상에서의 결제수단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준비 은행이 내놓은 연구에 따르면 2019년에 18~24세와 55~64세의 두 연령대의 성인그룹은 구매시 1/3에 현금을 사용했었다. 그런데 2년 지난 후, 두 그룹중 나이든 집단은 구매시 현금 사용 비율이 26%였지만 젊은 성인그룹의 경우 17%로 크게 떨어졌다. 결제회사인 Marqeta에 따르면 젊은 성인의 59%가 현금을 집에 두고 대신 스마트폰으로 지불하는 것이 편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51~65세 미국인의 36%만이 스마트폰으로 지불하는 것이 편하다고 말했다. 또한 시니어들이 이렇게 현금 소지를 유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습관이라는 것이다. 디지털 결제라는 대세를 따르기 위해서 이런 습관을 버리기 위한 몇가지 이유를 따져봤다.     첫째, 리워드가 있다. 많은 크레딧카드는 카드를 직접 사용하든, 온라인으로 사용하든, 디지털 지갑(애플페이, 구글월렛) 등을 사용하면 사용 금액에 따라 일종의 포인트로 리워드를 제공한다. 이 포인트는 항공편, 호텔 숙박, 명세서 크레딧 등으로 교환해준다.  그러나 중요한 주의 사항이 있다. 매달 크레딧 카드의 리볼빙 잔액을 남기면 이러한 리워드는 이자 비용을 충당하지 못한다. 전문가들은 매월 잔액을 전액 지불하고 이자를 피하라고 조언한다.     둘째, 전자 결제가 더 위험하다고 걱정하지만 실제로는 정반대다. 널리 사용되는 모든 전자 결제 도구에는 사기를 방지하고 실수할 위험을 줄이는 여러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크레딧 카드와 디지털 지갑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는 본질적으로 크레딧 카드번호와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드 번호 도용을 어렵게 만든다.   그리고 도둑이 어떻게든 귀하의 카드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면 카드 발급사의 사기 탐지 시스템에 의해 거래가 중지될 수 있다. 다른 모든 방법이 실패하더라도 카드 발급사에 즉시 보고하면 일반적으로 주인이 승인하지 않은 구매는 이뤄지지 않는다. 그래서 크레딧 카드 보호는 데빗 카드보다 더 강력하며 데빗 카드 PIN을 누구와도 절대 공유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유틸리티 청구서를 지불하기 위해 우편함에 수표를 넣는 경우는 차라리 더 위험하다. 왜냐하며 우편함 절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 동안 크레딧 카드나 전자 송금으로 청구서를 지불하는 것이 더 안전한 선택이 될 수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의 다른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 성인의 25%가 수표로 청구서를 지불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18~44세 성인은 7%만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니어 중 고령자는 크레딧 점수가 가장 높은 경향이 있다. 그러나 오래 전에 모든 대출금을 갚고 크레딧 카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면 결국 점수를 매길 수 없는 사람이 될 수 있다. 최신 크레딧 점수가 없으면 대출 자격, 보험 가입, 유틸리티 계정 설정 또는 셀폰 요금제 가입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크레딧 리포트 유지를 위해서라도 때때로 크레딧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자를 지불하거나 빚을 지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소액의 일상 구매에만 크레딧 카드를 사용하고 매달 잔액을 전액 상환하면 된다.     넷째, 디지털 결제 도구에 익숙해지면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등 편의성이 높아진다. 계산대에서 전자 거래는 몇 초밖에 걸리지 않으며 잔돈을 찾기 위해 주머니를 더듬지 않아도 된다. 친구와 가족 사이에서 P2P(Peer-to-Peer) 결제 앱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이나 다른 장치에서 간단하게 돈을 보내고 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에 벤모(Venmo), 질(Zelle), 캐시앱(Cash App)과 같은 P2P 앱을 사용하면 빠르고 쉽게 저녁 식사비를 나눠낼 수 있고 친구에게 콘서트 티켓 값을 갚을 수 있고 서비스 직원에게 팁을 주거나 친척에게 돈을 보낼 수 있다. 장병희 기자디지털 결제 크레딧 카드번호 디지털 결제 디지털 지갑

2023-03-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